728x90
오늘은 Local pc에 있는 Docker 컨테이너를 이미지로 만들어보고 hub에 올려보는 작업을 해보자
인터넷만 된다면 휴대용 이미지를 갖는 것이니 얼마나 좋은가

제일 먼저 도커에 로그인이 되어있는지 확인.
도커 홈에서 로그인을 하니 자동으로 연동이 되었다. 개꿀
그리고 도커 컨테이너를 확인해보자
docker ps -a
컨테이너 이름이 nn1을 대상으로 이미지를 말아보자
docker commit [컨테이너 이름] [저장할 이미지 이름]
docker commit nn1 nn1
이미지 확인
docker images
생성이 잘 됨을 확인한다.
이제 도커 메인 홈에 가서 repository를 생성한다.
Docker
hub.docker.com
이런 식으로 [Username]/[repository 이름] 생성 완료!
다음은 도커 허브 리포지토리에 업로드 하기위해서 도커 이미지를 만들어주자
docker image tag [기존 이미지명]:[Tag] [Username]/[repository 이름]:[리포지토리에 저장할 태그명]
이런 식으로 작성해 주면 된다. (Tag는 이미지 리스트를 검색할 때 나오는 TAG를 뜻함. 위 첨부 사진을 참고)
docker image tag nn1:latest gpdla233/zeeplin:namenode1
다음 hub에 push를 해준다
docker push gpdla233/zeeplin:namenode1
이제 도커 홈에 접속하면 이미지가 hub에 올라간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주간단!
참고로 hub에 올릴 수 있는 용량은 아래와 같으니 같이 알고있으면 좋을 것 같다.

Pull을 할 경우는 다음과 같다.
docker pull [username]/zeeplin:datanode3
끝.
728x90